- 30대 셀럽들은 위스키 업계의 부활을 이끌 수 있는가? -1
- 30대 셀럽 활용 마케팅으로 위스키 업계 부활을 노리지만, 접대 문화 위축과 소비자 변화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특히 젊은 세대의 위스키 소비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번 글에 이어서...
기존 접대 및 유흥 문화에 기대어 위스키 소비 세대를 확장할 것인가? 대중적 기존 음주 관습의 영역에 새로이 위스키만의 기회를 찾을 것인가? 이미 와인 업계는 대중적 술자리를 이끌던 소주와 맥주 중심의 음주 관습에 자신들만의 영역을 만들고 있습니다. 2020년 대비 2021년 와인 수입액은 전체 외국 주류 수입액의 70%을 차지할 만큼 위스키 시장의 3배에 가까운 확장성을 보인 바 있습니다. Z세대가 홈술 트렌드에서 경험한 1위의 술은 와인으로 캐럿이 진행한 온라인 서베이의 결과에서도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위스키는 가격과 도수, 희귀성과 연결된 그 경험의 측면에 있어 유니크함이 분명하기에 변화된 음주 관습 속 그 가치를 드러낼 수 있는 기회는 분명히 존재합니다. 문제는 업계가 어떤 내부 통설과 가정들을 인정하고 이를 마주하는 결정을 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습니다. 시장의 부활을 여전히 수동적으로 기대할 것인가요? 아니면 새로운 세대가 현재 경험하는 새로운 음주 관습을 이해하고 구체화하기 위한 도전을 마주할 것인가요?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