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병채의 센스메이킹] 〈42〉디지털 팬덤에서 배우는 브랜드의 진정성
- 버추얼 아이돌로 알려진 플레이브가 지난달 9일 지상파 가요 순위 프로그램에서 1위를 차지했다. 수만 명의 팬덤을 보유한 걸로 예상되는 이 그룹은 실제 인물이 실시간 렌더링 기술을 활용해 3D 캐릭터 옷을 입고 5인조
월요일 오전, 늘 하던 대로 칼럼 원고를 작성했다. 버추얼 아이돌 그룹 플레이브가 음악 방송에서 1위를 했다는 기사를 우연히 보았고 그들의 성공과 관련한 세상의 시선, 업계의 의미에 대해 해외 인류학자들의 관련 연구 사례와 함께 엮어 글을 마무리했다. 하던 대로.
원고는 당일 오후 4시에 온라인상에서 먼저 공개된다. 이후 추가적인 세부 편집을 통해 신문 지면에 오르게 된다. 그런데 이번 칼럼에는 공개 두 시간 만에 40여 개의 이모지 반응이 붙어 있었다. 지금까지 42개의 글을 써왔으나 거의 언제나 아무도 내 글에 반응을 보인 적은 없었다. 섹스어필 같은 자극적인 제목이 붙어서야 쓸데없는 댓글이나 달렸을 뿐.
곧이어 플레이브의 팬으로 추정되는 분으로부터 플레이브에 대한 내용을 글로 다뤄줘서 고맙다는 메일을 받았다. 아 팬분들이 글을 공유했을 수 있겠구나 싶어 그 출처를 검색해 본다. 그리고 찾아낸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의 칼럼 소개 포스팅.
내게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댓글 속 반응이었다.
- ㄹㅇ 좋네 학문적으로도
(학문적으로 읽히는구나 내 글이...)
- 말이 뭔가 어렵긴 한데 내용 좋음
(어렵구나 여전히 내 글이...)
생각해 보면 이번 글은 소재로 등장한 아이돌 그룹의 팬분들이 자신이 애정하는 아티스트를 다룬 내용에 관심을 가지고 최대한 이해해 보려 노력하며 읽는 그 순간에 집중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학문적으로 딱딱하고 어려웠다는 반응은...
한때 경영인들에게 유행이었던 디자인 싱킹.
그에 못지않은 센스메이킹의 대중화를 목표로 하는 입장에서
나는 아직 많이 부족하구나. OTL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