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ungchae Ryan Son

도시는 앱(App)이 아닙니다. -2

  • 작성 언어: 한국어
  • 기준국가: 모든 국가country-flag
  • IT

작성: 2024-05-09

업데이트: 2024-12-13

작성: 2024-05-09 10:43

업데이트: 2024-12-13 16:51

1편에 이어서...


그럼 어떤 대안이 있을까요?


업계는 그동안 도시민들이 도시를 이동할 때 마주하는 안전, 생산성, 사회적 연결에 대한 관심과 책임들, 즉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도전 과제를 완화시키는 기회를 놓쳤습니다. 결국 목표는 도시와 도시민 모두를 납득시키는 것입니다.


이들 모두에게 어필하기 위해 더 나은 브랜드나 소프트웨어만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던 이동 수단들 사이의 격차를 이해하고 이를 도시가 필요로 하는 곳에 맞춰 채울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관련해 우리는 2가지 방향성을 제시해 스스로 구체화해볼 것을 제안합니다.


A. Human mobility: 모빌리티는 사람들이 시간을 보내고자 하는 곳으로 데려갑니다. 이 같은 이동 사례들이 어떤 형태와 목적으로 진행되는지 업계가 진출하려는 도시를 기준으로 조사 및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왜 사람들은 도시를 이동하는가?
  • 어떻게 사람들은 도시를 이동하는가?
  • 어디로 사람들은 이동하는가?


이 Human mobility culture야말로 도시민들의 mobility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real sofrware가 될 수 있습니다.


B. Technology: 제도의 변화에 맞춰진 app 내 기능의 변화는 수동적이나 도시민들이 이 쉽고 흥미로운 이동이 채워주길 바라는 관계를 먼저 확인함으로 인해 사회가 납득할 수 있는 기능적 개선책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전동 킥보드와 사용자 간 ‘안심할 수 있는 관계’는 무엇인가?


사물 또한 인간에게 영향을 주고받는 존재로 바라보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을 기반으로 하나의 인간 현상으로 구체화해보는 접근이 가능합니다.


이 같은 노력은 앞으로의 정부 주도의 제한된 업체 선정을 받는 핵심이 될 수 있으며 CSR 활동으로서의 선택이 아닌 치열한 업계 내 생존의 전략의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Ryan Son is the partner at Reason of creativity, a social science-based consulting firm.

댓글0